티스토리 뷰
페이스북 탈퇴 복구 방법, 유예 기간과 함께 알려드림
@성훈 2024. 1. 11. 05:24
페이스북 은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로든 페이스북 을 떠나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페이스북 을 탈퇴하고, 필요한 경우 다시 계정을 복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페이스북 탈퇴 방법
모바일 기준
- 로그인 후 메뉴 클릭
- 설정 및 개인정보로 이동
- 계정 센터 선택
- 개인정보 > 계정 소유권 및 관리 > 삭제 또는 비활성화 선택
- 계정 삭제 시 30일 동안 유예 기간 제공
PC에서 탈퇴하기
- 페이스북 접속 후 내 프로필 사진 클릭
- 설정 및 개인정보로 이동
- 내 페이스북 정보로 이동
- 계정을 비활성화할지 또는 삭제할지 선택 후 진행
페이스북 탈퇴 후 복구
페이스북 은 계정 삭제를 시작한 날로부터 30일 동안 유예 기간을 제공합니다. 이 기간 동안 계정을 복구하려면 아래와 같이 진행하세요.
- 30일 이내에 페이스북 에 기존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합니다.
- "Facebook으로 계속합니다."를 클릭하고 단계별로 복구를 진행합니다.
주의사항
페이스북 계정을 비활성화하면 몇 가지 상태 변화가 있습니다.
- 본인 계정 타임라인이 숨겨집니다.
- 계정 검색(이름 검색)이 안됩니다.
- 메신저로 주고받은 메시지 등의 일부는 보일 수 있습니다.
- 친구들의 친구 리스트에 이름은 계속 표시되나 클릭하여도 타임라인은 안 보입니다.
- 그룹 관리자는 비활성화 회원의 게시물과 댓글, 이름을 계속 볼 수 있습니다.
- 언제든 원할 때 계정을 재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페이스북 계정을 삭제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 삭제한 계정에 다시 액세스할 수 없습니다.
- 삭제 요청 후 일정 기간 동안 로그인하여 삭제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
- 메시지 내역과 같은 일부 정보는 계정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 로그 기록 등 일부 자료의 사본은 DB에 남아 있지만 개인 식별자와의 연결이 해제됩니다.
비활성화된 계정은 언제든지 로그인만으로 활성화할 수 있으며, 계정 삭제 취소 가능기한은 삭제 후 30일 이내에 가능합니다.
페이스북 탈퇴와 복구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계정을 삭제하기 전에 유예 기간과 관련된 사항을 주의 깊게 살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페이스북 이용에 대한 모든 결정은 사용자 스스로의 판단하에 이루어져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만 탈퇴와 복구를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행위 |
상태 변화 |
주의사항 |
계정 비활성화 |
- 타임라인 숨김 |
- 30일 이내 재활성화 가능 |
- 검색 불가 |
- 그룹 관리자는 정보 확인 가능 |
|
- 일부 메시지 보존 가능 |
- 언제든 비활성화 해제 가능 |
|
계정 삭제 |
- 완전한 액세스 불가능 |
- 삭제 취소 가능기한 30일 이내 |
- 일부 정보 삭제 |
- 로그 기록 등 일부 사본 남아 있음 |
|
계정 삭제 취소 |
- 로그인으로 활성화 가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