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동산 소유현황, 외국인 소유 토지 면적, 주택 집중 지역 확인하기
@성훈 2025. 1. 9. 10:55
부동산 소유현황은 부동산 시장과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특히 외국인들이 국내 부동산을 얼마나 소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통계는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정책을 마련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2024년 6월 기준으로 발표된 외국인 부동산 소유 현황에 대한 통계를 통해 외국인의 소유 비율, 주요 국가별 집중 현상, 그리고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Uxf2/btsJqetpGk8/KXoGs5KiteAeTheXKYZsXK/img.jpg)
외국인의 한국 내 부동산 소유 현황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2024년 6월 기준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 비율은 낮은 편이지만, 특정 국가와 지역에서 집중되는 현상이 두드러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29j61/btsJnK073AH/zxxMYn8KNKDzqAszyWJkA1/img.jpg)
외국인 토지 소유 현황
외국인이 보유한 한국 내 토지 면적은 총 2억 6,565만 4,000㎡로, 이는 전체 국토 면적의 약 0.26%에 해당합니다. 전체적으로 외국인이 보유한 토지는 비교적 적지만, 국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주요 국가의 보유 비율을 살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epgNHh/btsJu8APb1D/4tCMOtHfBQjoGyNBbkQ6N1/img.jpg)
- 미국이 53.3%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 중국은 7.9%,
- 유럽은 7.1%,
- 일본은 6.2%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18.4%)가 외국인 소유 비율이 가장 높고, 그 뒤를 이어 전라남도(14.7%)와 경상북도(13.7%)가 높습니다. 특히, 기타 용지(임야, 농지 등)는 67.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 외에도 공장용지(22.2%), 레저용지(4.5%), 주거용지(4.2%)가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WoYi/btsJovJbUSi/kfUk8ObVusnWG3shcGxLe1/img.jpg)
외국인 주택 소유 현황
주택 소유 현황도 주목할 만합니다.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주택은 총 9만 5,058가구로, 이는 전체 주택의 0.49%에 해당합니다. 주택 소유 역시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중 경기도가 38.7%, 서울이 24.3%, 인천이 9.9%를 차지합니다. 특히, 부천(5.1%), 안산(4.8%), 수원(3.4%) 등의 시군구가 외국인 소유 비율이 높은 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qG2IJ/btsJz8gklej/L9ljTU29tFG0piIg4Unmq1/img.jpg)
주택 소유자별 비율을 살펴보면:
- 중국이 55.5%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 미국(22.5%),
- 캐나다(6.5%),
- 대만(3.5%),
- 호주(2.0%) 등이 그 뒤를 따릅니다.
이 통계는 외국인의 주택 소유 비율이 적지만, 중국인 소유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향후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qCP7/btsJrCub9ob/APNzlYVtAhkOUJHUZetit1/img.jpg)
외국인 부동산 거래 관리 강화
국토교통부는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와 거래를 보다 투명하게 관리하고 있으며, 불법적인 거래나 투기적인 행위에 대해서는 철저한 조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특히 외국인 소유 부동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부동산 거래에 대한 관리와 감독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외국인의 활동이 증가하면서, 정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외국인 소유 부동산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2024년 기준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현황을 보면, 외국인의 소유 비율은 낮지만 특정 국가와 지역에서 집중되는 경향이 뚜렷합니다. 특히 중국인의 소유 비율 증가가 주목되며, 이로 인한 시장 변화와 정부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부동산 소유현황에 대한 정확한 관리와 정책적 대응이 더욱 필요하며, 향후 부동산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입니다. 외국인의 부동산 소유 현황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이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