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장애인수당은 장애인과 그 가족의 생활 안정에 큰 도움을 주는 제도입니다. 최근 변화된 수당 내역을 통해 장애인들의 삶이 어떻게 향상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장애인수당의 여러 종류와 그 세부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수당/장애아동수당 < 장애인자립기반 < 장애인 < 정책

 

장애인연금

장애인연금은 기초급여와 부가급여로 나뉘며, 2024년부터 기초급여는 334,000원으로 3.3% 인상됩니다. 이 외에 부가급여로 80,000원이 추가되어, 장애인연금을 받는 분들은 총 414,000원의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계·의료급여수급자의 경우 연령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애인연금 지급 내역

구분

18~64세

65세 이상

생계·의료급여수급자 (재가)

기초: 334,000원, 부가: 80,000원, 합계: 414,000원

부가: 414,000원, 합계: 414,000원

생계·의료급여수급자 (시설)

기초: 334,000원, 부가: 0원, 합계: 334,000원

부가: 0원, 합계: 0원

교육·주거급여수급자 및 차상위

기초: 334,000원, 부가: 70,000원, 합계: 404,000원

부가: 70,000원, 합계: 70,000원

차상위 초과

기초: 334,000원, 부가: 20,000원, 합계: 354,000원

부가: 40,000원, 합계: 40,000원

 

장애수당

장애수당은 중증장애인이 아닌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에게 월 6만원이 지급됩니다. 또한, 보장시설에 입소한 장애인에게는 월 3만원이 지원되며, 기존의 장애수당과 비교했을 때 2023년부터 금액이 인상되었습니다. 구체적인 지급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장애수당 지급 내역

구분

재가

시설

기존

4만원

2만원

2023년

6만원

3만원

 

장애아동수당

장애아동수당은 기초생활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만 18세 미만 등록 장애아동에게 지급됩니다. 학교에 재학 중인 경우에는 만 20세 이하의 아동도 포함됩니다. 이 수당은 장애 아동의 생활을 지원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장애연금

장애연금은 국민연금의 일환으로, 가입자가 장애가 발생한 이후 남은 장애에 대해 연금을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이는 장애인들에게 장기적인 생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장애인수당은 장애인과 그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각 수당의 지급 기준과 금액이 인상됨에 따라 많은 이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제도가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합니다. 장애인수당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관련 기관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장애수당/장애아동수당 < 장애인자립기반 < 장애인 < 정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