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범용 공동 인증서 발급 방법, 발급 수수료, 추가 인증 방법 알려드립니다
@성훈 2024. 7. 3. 12:03
최근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금융 거래나 전자민원 서비스 이용 시, '범용 공동 인증서 '라는 용어를 종종 들어보셨나요? 이 글에서는 범용 공동 인증서 의 발급 방법부터 활용 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인인증서의 종류와 사용
공인인증서는 개인용, 사업자용, 그리고 세금계산서용 등으로 나누어지며, 주로 금융 업무나 전자민원 서비스에서 사용됩니다. 이들 인증서는 주기적으로 갱신해야 하며, 기본적으로 1년마다 갱신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공인인증서가 명칭만 공동인증서 로 변경되었지만, 사용처나 기능은 기존과 동일합니다. 금융 위원회는 각 인증서의 사용처 및 발급기관을 정리하여 발표하였습니다.
범용 공동 인증서 발급 및 비용
범용 공동 인증서 는 다양한 전자거래에 사용할 수 있는데, 한국정보인증, 한국전자인증, 코스콤 등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발급 비용은 대체로 10만 원 선에서 결정되며, 특정 기간 동안 할인 프로모션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기회도 있습니다.
발급 업체 |
발급 비용(1년) |
한국정보인증 |
129,800원 |
한국전자인증 |
110,000원 (할인 중 44,000원) |
코스콤 |
110,000원 (할인 중 44,000원) |
개인 범용 공동 인증서 발급 방법
범용 공동 인증서 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이 주거래하는 은행에서 발급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발급 수수료는 대부분 연 4,400원으로, 은행의 인증센터에서 주민등록번호와 출금계좌번호를 입력하고 추가적으로 ARS, 문자인증, OTP 인증을 통해 인증을 진행합니다. 발급 후에는 암호를 설정하고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범용 공동 인증서 활용 방법
범용 공동 인증서 는 홈택스나 국세청 손택스 어플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됩니다. 홈택스 등록 시에는 홈택스 홈페이지의 인증센터를 통해 등록을 진행하며, 국세청 손택스 어플에서는 모바일 인증서이동 서비스를 통해 간편하게 인증서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범용 공동 인증서 는 현대 사회에서 빠질 수 없는 필수품입니다. 금융 거래나 세무 서비스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 발급부터 활용까지 정확한 절차와 정보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터넷을 통한 생활이 더욱 편리해지는 만큼, 범용 공동 인증서 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 발급 비용
발급 업체 |
발급 비용(1년) |
한국정보인증 |
129,800원 |
한국전자인증 |
110,000원 (할인 중 44,000원) |
코스콤 |
110,000원 (할인 중 44,000원) |
개인 범용 공동 인증서 발급 절차
발급 절차 |
상세 내용 |
발급 신청 장소 |
본인이 주거래하는 은행 |
발급 수수료 |
대부분 은행에서는 연 4,400원 |
추가 인증 방법 |
ARS, 문자인증, OTP 인증 |
암호 설정 및 저장 위치 |
영문, 숫자, 특수문자 포함 암호 설정 및 이동식 디스크에 저장 추천 |
범용 공동 인증서 활용 방법
서비스명 |
등록 방법 |
홈택스 |
홈택스 홈페이지의 인증센터를 통한 등록 |
국세청 손택스 어플 |
모바일 인증서이동 서비스를 통해 등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