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직확인서 발급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조회해보세요
@성훈 2024. 6. 20. 14:54
오늘은 이직확인서 발급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직확인서 는 이직 및 실업급여 신청에 필요한 중요한 서류입니다. 이를 통해 구직급여 수급 자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방법과 요청 방법, 작성방법, 그리고 제출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방법
이직확인서 의 처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고용보험을 통해 온라인으로 쉽고 편리하게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본인의 이직확인서 접수 및 처리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이직확인서 는 상용근로자의 퇴사 사실을 확인하는 서류로, 이직사유, 이직일, 평균임금, 피보험단위 기간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직급여 수급 자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처리여부 조회 방법
- 고용보험 홈페이지 또는 APP 접속 : PC나 모바일을 통해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APP을 실행합니다.
- 로그인 : 본인 확인을 위해 로그인을 하여 조회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 인적사항 확인 및 조회 기간 선택 : 성명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기간을 선택하여 검색합니다.
- 조회 결과 확인 : 이직확인서 처리 상태 및 날짜 등을 확인하여 처리 여부를 파악합니다.
이직확인서 요청
이직확인서 는 회사를 퇴사한 근로자가 직접 발급 요청을 하거나, 회사에서 구직급여 수급자격 인정과 함께 고용센터에 직접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실업급여 수급 자격 확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이직확인서 발급요청서 는 이직자의 인적사항과 퇴사한 회사 정보, 이직일 등을 기재하여 이직한 회사로 제출합니다. 발급 요청이 불이익으로 처리되는 경우 회사에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이직확인서 발급 과 관련된 모든 세부 정보를 정리하였습니다. 필요한 경우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고용보험 APP을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직확인서 작성방법 제출방법
이직확인서 발급 안내
이직확인서란
이직확인서 는 퇴사한 사실을 확인하는 서류로, 퇴사 사실을 확인하여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필요한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직확인서 는 퇴사한 사업장에서 발급받아야 합니다.
신청방법
이직확인서 를 신청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근로자가 사업주에게 발급 요청서를 작성하여 직접 제출하거나 이메일 등을 통해 전송합니다.
- 사업주는 요청을 받은 후 이직확인서 를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발급합니다.
작성방법
근로자 작성 - 발급요청서
근로자가 이직확인서 를 신청할 때는 발급요청서 를 작성해야 합니다.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급요청서 에 근로자와 사업장의 정보를 기재합니다.
- 요청서를 사업주에게 제출합니다.
- 사업주는 받은 요청서를 확인하고, 이직확인서 를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발급합니다.
사업주 작성 - 이직확인서
사업주는 이직확인서 를 작성하여 발급해야 합니다. 작성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사업장 정보와 피보험자(이직자) 정보를 기재합니다.
- 이직사유와 피보험단위기간 등을 정확하게 기재합니다.
- 평균임금과 1일 소정 근로시간을 작성합니다.
제출방법
이직확인서 를 제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을 통해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제출하거나, 팩스, 우편, 방문 등의 방법으로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사업주는 근로자의 요청을 받은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이직확인서 를 발급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이상으로 이직확인서 발급 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확하게 발급을 진행하여 실업급여를 원활하게 신청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대분류 |
중분류 |
자진퇴사 |
11) 개인사정 자진퇴사 |
12) 사업장 이전 /근로조건 변동 / 임금체불등으로 자진퇴사 |
|
회사사정 및 |
|
피보험자 귀책사유 |
22) 폐업·도산, 공사중단 |
23) 경영상 필요 또는 불황등의 이유 인원감축에 의한 퇴사(해고, 권고사직, 계약파기 포함) |
|
26) 피보험자의 귀책사유에 의한 징계해고, 권고사직, 계약파기 등 |
|
기간만료 |
32) 정년, 계약기간만료, 공사종료 |
기타 |
41) 고용보험 비적용 |
42) 이중고용 |
바로가기
- 링크
- 이직코드 모두 보기
- 피보험자이직확인서사업주작성_일용직.pdf
- 피보험자이직확인서사업주작성-일반.pdf
- 이직확인서_발급신청서근로자.pdf
- 이직확인서 자세히 보기
- 실업급여 이직확인서
퇴사자 이직확인서 발급 방법
이직확인서 발급 안내
이직확인서란?
이직확인서 는 퇴사한 사실을 확인하는 서류로, 실업급여를 신청하기 위한 필수 자료입니다. 사업주가 직접 발급하며, 이를 통해 퇴사한 사업장으로 연락하여 발급을 요청해야 합니다.
퇴사자 이직확인서 발급 방법
이직확인서 는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를 통해 발급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발급 절차입니다: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사이트로 이동한 후, 상단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합니다.
- 사업장 공동 인증서를 준비한 후, 사업장 - 사업장명의인증서를 선택하여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 로그인 후, 홈화면에서 '민원접수/신고' 탭을 선택합니다.
- 좌측 탭 중 '자격관리'를 클릭하고, 하위 목록 중 '피보험자 이직확인(10507)'을 선택합니다.
- 사업장을 선택한 후, 퇴사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조회 버튼을 클릭합니다.
- 이후 피보험자(이직자) 정보를 입력하고, 이직사유는 4대보험 상실 신고 시와 동일하게 작성합니다.
- 신청 내역을 작성한 후, 접수 버튼을 클릭하여 접수를 완료합니다.
QnA
Q: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아니어도 이직확인서 를 발급해주어야 하는지?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아니더라도 다른 사유로 이직확인서 가 필요하거나, 추후에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피보험단위기간 합산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직확인서 발급 은 필요합니다.
Q: 자발적으로 퇴사한 직원이 실업급여 수급을 위해 권고사직으로 이직확인서 발급 을 요청하는 경우? 실업급여는 '비자발적으로' 이직한 근로자에 대해서만 지급되므로, 허위 사실로 이직확인서 를 발급하는 것은 3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됩니다. 따라서 허위 발급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가 필요합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이직확인서 발급 '에 대한 정보를 안내드렸습니다. 이직확인서 발급 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쉽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협력이 필요한 절차입니다. 신속하고 정확한 발급을 위해 제공된 링크와 양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를 원활하게 신청하기 위해 이직확인서 발급 에 신경 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발급 방법 |
절차 |
온라인 |
고용보험 홈페이지나 APP을 통해 조회 |
직접 요청 |
회사나 고용센터에 발급 요청 |
근로자 작성 |
사업주 작성 |
발급요청서 작성 |
이직확인서 작성 |
사업주에게 제출 |
근로자에게 발급 |
자주 묻는 질문 |
실업급여 수급 대상이 아니어도 이직확인서를 발급해야 하는가? |
자발적으로 퇴사한 직원이 이직확인서를 요청하는 경우? |
바로가기
다운로드
이직확인서 발급 은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 간의 협력이 필요한 절차이니, 정확하고 신속하게 발급을 위해 발급 절차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실업급여를 원활하게 신청하기 위해 이직확인서 발급 에 신경 쓰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